티스토리 뷰
화나서 쓰는 Git
메인 저장소에 Fork를 만들어서 로컬에서 사용할 저장소를 만들었다.
평소처럼 intelliJ에 연결하고 사용하려는데 자꾸 push 거절을 당했다...
이유는 알 수 없음 ... 분노의 삭제 만들기 Fork 삭제 만들기 폴더 삭제 만들기 ㅂㄷㅂㄷ
제일 의심되는 이유는 Fork가 제대로 안 된 것 같았다.
나는 Git Lab을 쓰는데 Fork를 만들었는데 숫자가 0이라고 나왔다.
(처음에 1이 0으로 나왔었음)
결론 : 화나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처음부터 다시 했더니 됨
1. 메인 저장소에서 Fork를 만든다. (저는 Git Lab사용)
2. Fork 로 만들어진 저장소(로컬 저장소)의 주소를 Clone 한다
Clone 하면 로컬 저장소가 Origin으로 remote 됨
명령어: git clone + Fork로 만든 저장소 주소
3. 메인 저장소 연결하기
명렁어: git remote add upstream + 메인 저장소 주소
위에서 upstream은 별명임 다른 것으로 해도 괭춘
ex) git remote add apple + 메인 저장소 주소
4.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
명령어: git remote
결과화면 :
이하는 ... branch 만들고 commit 후 push하면 됨.
이 얼마나 간단한 것인데 왜 안 되었던 것인가 부글부글
'미니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rebase, pick, fixup 사용기 (2) | 2020.09.22 |
---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git fixup
- 프로시저
- fixup
- git commit합치기
- git rebase fixup
- mysql8
- git
- &allowPublicKeyRetrieval=true
- rebase
- public key retrieval is not allowed
- MSsql
- Could not create connection to database server
- git rebase
- Unable to obtain JDBC DatabaseMetaDat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